뉴스 바로가기

기사 상세

사회

“우리 애도 입었는데 어쩌지”...엄마들 비상 걸리게한 유해물질 폭탄 청바지

정석환 기자
입력 : 
2025-03-28 12:56:52
수정 : 
2025-03-28 13:36:19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해외 직구 플랫폼에서 판매되는 어린이 청바지에서 국내 기준치를 157배 초과하는 유해물질이 검출되었으며, 서울시는 해외 직구 어린이용 섬유 제품 41종에 대한 검사 결과 10개 제품이 부적합하다고 발표했다.

특히, 여자 아이 청바지의 고무단추에서 프탈레이트계 가소제가 국내 기준치보다 157.4배 초과 검출되었고, 유아용 섬유제품에서도 납과 카드뮴이 기준치를 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는 부적합 판정된 제품에 대해 판매 중단을 요청하고 다음 달 어린이날을 맞아 완구 안전성 검사를 실시할 계획이다.

언어변경

글자크기 설정

서울시, 알테쉬 판매 제품 41종 조사
기준치 157배 초과 유해물질 검출
아동 의류·완구 등 10개 제품서 문제
유해물질이 초과 검출된 테무 여아용 청바지. <제공=서울시>
유해물질이 초과 검출된 테무 여아용 청바지. <제공=서울시>

해외 직구 플랫폼에서 판매되는 어린이 청바지에서 국내 기준치를 157배 초과하는 유해물질이 검출됐다. 28일 서울시가 발표한 해외 직구 어린이용 섬유 제품과 완구 41종을 대상으로 한 검사 결과에 따르면 이 가운데 10개 제품이 부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는 테무·쉬인·알리익스프레스에서 판매되는 제품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유해 화학물질 검출 여부와 내구성을 검사한 결과 10개 제품 중 아동용 섬유 제품 5종이 유해 물질 기준을 초과하거나, 물리적 안전성 기준을 충족하지 못했다.

여자 아이 청바지는 고무단추에서 프탈레이드계 가소제가 국내 기준치 대비 157.4배 초과해 검출됐다. 남자 아이 청바지 주머니감에서는 폼알데히드가 기준치보다 1.2배 초과한 것으로 조사됐다.

프탈레이트계 가소제는 내분비계 장애를 일으킬 수 있는 물질이다. 정자수 감소, 불임, 조산 등 생식 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끈이 지나치게 길고 마감도 적절하게 처리되지 않은 여아 치마도 나왔고, 국내 어린이옷에서는 금지된 3차원 장식물을 단 아동 니트도 있었다.

납이 초과 검출된 유아용 완구. <제공=서울시>
납이 초과 검출된 유아용 완구. <제공=서울시>

유아용 섬유제품에서도 납, 카드뮴 등 유해 물질이 초과 검출됐다. 유아 블라우스에 부착된 브로치에서는 납이 기준치의 1.7배, 카드뮴은 기준치의 1.8배 초과했다. 납은 안전기준 이상으로 노출되면 생식기능에 해를 끼칠 수 있고, 암 위험도 증가한다.

브로치의 경우 날카롭게 제작돼 아이들 안전을 해칠 수 있다는 점도 문제로 꼽혔다. 자동차 완구는 내부 흰색 연질 전선에서 납이 기준치 대비 57.7배 초과 검출됐다.

서울시는 부적합 판정을 받은 제품에 대해서는 해당 플랫폼에 판매 중단을 요청했다. 다음 달에는 어린이날을 앞두고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완구에 대한 안전성 검사를 실시할 계획이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