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바로가기

기사 상세

IT·과학

오픈AI “올해 매출 20조”… 1년새 3배로

이덕주 기자
입력 : 
2025-03-27 17:53:23
수정 : 
2025-03-27 19:14:46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오픈AI의 올해 예상 매출이 유료 모델 이용자 급증에 힘입어 127억달러에 이를 것으로 보이며, 내년 매출은 294억달러로 예측되고 있다.

챗GPT는 뛰어난 기능과 사용자 편의성 덕분에 AI 슈퍼앱으로 발전할 것으로 기대되지만, 소비자 친화적인 기능 추가로 API 사업과의 충돌이 우려된다.

오픈AI의 기업 가치는 소프트뱅크의 투자 유치로 3000억달러에 달하며, 이는 비상장 기업 중 두 번째로 높은 평가액이다.

언어변경

글자크기 설정

챗GPT, 에이전트로 진화
코딩·고급 리서치 '척척'
유료 서비스 흥행 이끌어
2029년 매출 183조 전망도
400억弗 투자유치 마무리
사진설명
챗GPT로 생성형 인공지능(AI) 열풍을 몰고 온 오픈AI의 올해 매출이 유료 모델 이용자 급증에 힘입어 전년 대비 3배 이상 늘어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26일(현지시간) 블룸버그는 오픈AI가 최근 직원들에게 올해 예상 매출이 127억달러(약 18조7000억원)에 이를 것이라는 예상을 공유했다고 보도했다. 내년 매출은 올해 매출 예상치의 2배가 넘는 294억달러(약 43조원)에 달할 것으로 예측됐다. 오픈AI 지난해 매출은 37억달러(약 5조4200억원)였다. 앞서 뉴욕타임스는 오픈AI가 올해 목표 매출을 116억달러로 잡았다고 보도한 바 있다. 오픈AI 성장세가 예상보다 빠른 셈이다.

오픈AI 급성장은 'AI 슈퍼앱'으로 진화하고 있는 챗GPT의 막강한 경쟁력 때문이다. 현재 오픈AI 매출은 챗GPT 유료 구독자에서 대부분 나오는 것으로 추정된다. 오픈AI는 최신 AI 모델을 이용할 수 있고 속도도 무료 버전보다 빠른 챗GPT 플러스(월 20달러)를 비롯해 사용량에 제한이 없는 챗GPT 프로(월 200달러), 기업용 챗GPT 등 다양한 유료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다. 지난해 기준 유료 구독자는 1550만명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챗GPT 주간 사용자 수는 4억명으로, 개인이 사용하는 AI 서비스 중 가장 많다.

챗GPT의 가장 큰 장점은 하나의 앱으로 다양한 기능과 역할을 한다는 점이다. 기본적으로 텍스트 대화를 통해서 다양한 지식을 물어볼 수 있고, 글쓰기 초안을 요청하거나 작성한 글의 수정을 요청할 수 있다.

챗GPT는 뛰어난 이미지 인식 기능을 가지고 있어서 첨부한 이미지를 분석하고 설명해준다. 최근 업데이트된 이미지 생성 능력은 사용자 요구에 맞춰 다양한 스타일로 그림을 그려줄 수 있고, 영어는 물론 한글까지 이미지에 완벽하게 넣어준다. 챗GPT가 처음 등장할 때부터 있었던 코딩 능력은 초급 개발자 수준까지 향상됐다. 사용자의 일을 대신 처리해주는 'AI 에이전트' 능력도 향후 계속 추가될 예정이다. 이 같은 다양한 능력과 사용자 편의성은 경쟁 서비스인 제미나이, 클로드, 그록, 퍼플렉시티 등을 훨씬 앞선다는 평가다.

시장에서는 오픈AI가 챗GPT를 AI 슈퍼앱으로 계속 발전시킬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다만 챗GPT가 점점 더 일반 소비자에게 친화적인 기능을 추가할수록 오픈AI의 또 다른 사업인 API(애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 사업과 충돌하는 경우는 점점 더 많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오픈AI는 자신들이 개발한 AI 모델을 스타트업이나 일반 기업이 사용할 수 있도록 제공하고 사용량에 기반한 요금을 받고 있다.

흑자 전환은 당분간 힘들 전망이다. 블룸버그는 "오픈AI 2029년 매출은 1250억달러(약 183조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며 "그때까지는 현금 흐름이 흑자 전환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전했다.

이날 블룸버그는 일본 소프트뱅크가 주도하는 오픈AI에 대한 400억달러 투자 유치가 거의 마무리됐다고 보도했다. 이에 따라 오픈AI 기업가치는 400억달러를 포함해 3000억달러(약 440조원)로 뛰어올랐다. 지난해 10월 평가액이 1570억달러였는데, 6개월도 안 돼 몸값이 두 배 가까이 높아진 셈이다. 이는 비상장 기업 중 몸값 1위인 로켓 기업 스페이스X(3500억달러)에 이어 두 번째다. 삼성전자(2689억달러)보다도 높다.

[실리콘밸리 이덕주 특파원]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