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바로가기

기사 상세

국제

'전기차 캐즘' 전력반도체 해고폭풍

신윤재 기자
입력 : 
2025-03-25 17:56:48
수정 : 
2025-03-25 20:01:38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전기차(EV) 관련 전력반도체 시장에서 서구와 일본 업체들이 인원 감축과 투자 축소를 단행하고 있으며, 이는 EV 시장 성장 둔화로 인한 생산능력 과잉 때문으로 분석된다.

특히 독일 인피니언과 미국 온세미, 스위스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는 대규모 구조조정을 진행하고 있으며, 일본 르네사스일렉트로닉스도 전력반도체 생산 계획을 늦추고 수백 명을 퇴직시키기로 결정했다.

추가적으로, 중국 EV 업체들이 공급망을 강화하며 품질과 성능이 거의 유사해졌다는 점도 서구와 일본 업체들의 부진한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언어변경

글자크기 설정

獨 인피니언·美 온세미 감원
中 자체공급망 강화에 직격탄
사진설명
전기차(EV)에 사용되는 전력반도체 분야에서 서구와 일본 업체들이 잇달아 인원 감축과 투자 축소에 나서고 있다. EV 시장 성장세가 예상보다 둔화하면서 생산능력 과잉 상황이 나타나고 있는 것이 주요 배경으로 분석된다. 25일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에 따르면 전력반도체 세계 1위 업체 독일 인피니언은 직원 1400명을 해고하고, 또 다른 1400명에 대해서는 업무를 전환해 배치할 예정이다. 2위 기업인 미국 온세미도 구조조정을 통해 약 1000명을 줄일 계획이고, 3위 업체인 스위스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는 조기 퇴직자를 모집할 방침이다.

일본 르네사스일렉트로닉스는 야마나시현 공장의 전력반도체 양산 개시 시점을 연기하고 연내 수백 명을 퇴직시키기로 했다. 르네사스 공장 가동률은 지난해 3분기 40%에서 4분기 30% 정도로 삭감됐다.

구조조정은 부품·소재 분야로도 확산하고 있다. 전력반도체용 웨이퍼(기판)를 생산하는 미국 울프스피드는 연내 전체 직원의 20%에 해당하는 1000여 명을 해고하기로 결정했다. 일본 산켄전기는 전력반도체 복합 부품의 증산 시작 시점을 당초 예정이었던 2024년에서 2년가량이나 연기했다.

서구와 일본 전력반도체 업체가 부진한 또 다른 이유로 BYD로 대표되는 중국 EV 업계의 공급망 강화가 있다고 이 신문은 짚었다. 미국이 첨단 반도체에 대한 중국 수출을 규제하자, 중국 업체들이 파워반도체에 투자를 집중해왔다는 것이다. 한 일본 기업 간부는 닛케이에 "중국 기업들과 제품 성능 차이는 몇 년 전쯤 거의 없어졌다" 고 말했다.

[신윤재 기자]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