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현철 연세대 교수 인터뷰
숙련된 인력은 고임금 가능
임금 결정, 시장에 맡겨야
숙련된 인력은 고임금 가능
임금 결정, 시장에 맡겨야

김 교수는 21일 매일경제 인터뷰에서 "모든 외국인 인력 정책은 노동력 확보에서 시작되지만, (외국인 노동자들은) 결국에는 이웃이 된다"며 "한국 역시 홍콩의 모습을 보며 우리가 가야 할 길을 고민해야 한다"고 밝혔다. 김 교수는 서울시가 주도하고 있는 외국인 가사관리사 사업이 돌봄, 간병 등 분야에서 외국인 인력을 확보하려는 시도에 물꼬를 텄다고 평가했다.
특히 김 교수는 외국인 돌봄 인력 확보 정책의 초점을 영유아에게서 노인 및 장애인으로까지 확대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그는 "아이 돌봄 수요는 저출산으로 줄어들 수 있지만 노인과 장애인을 돌볼 인력은 턱없이 부족하다"며 "영유아·노인·장애인을 시설에서만 돌보는 데서 벗어나 이들이 원하면 가정에서 돌봄을 받을 수 있도록 정책을 펼쳐야 한다"고 말했다.
이를 위해서는 서울시가 시행하는 필리핀 가사관리사처럼 외국인 돌봄 도우미 서비스를 도입할 필요가 있다는 게 김 교수의 주장이다. 외국인 돌봄 서비스 정착을 위한 가장 시급한 숙제로는 업종별 최저임금 차등 적용을 꼽았다. 김 교수는 "외국인 인력 확보 정책은 장기적으로 사회 통합까지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외국인이라는 이유로 낮은 최저임금을 지급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며 "업종별로 최저임금을 구분해 적용함으로써 외국인 돌봄 인력을 저렴하게 이용할 수 있는 길을 열어줘야 한다"고 설명했다.
최저임금 차등 적용의 필요성 역시 그의 홍콩 시절 경험에서 비롯됐다. 당시 김 교수는 홍콩에서 필리핀 가사관리사를 고용해 생활했다. 홍콩은 외국인 가사도우미에게 최저임금이 적용되지 않는다. 가사도우미 서비스에 만족했던 김 교수는 홍콩에서 외국인 가사도우미 시세로 책정된 금액보다 더 많은 임금을 지급했다.
김 교수는 "숙련된 외국인 가사도우미는 고용한 가정에서 계속 이용하고 싶기에 최저임금보다 더 많은 돈을 들일 것이고 이런 식으로 자연스럽게 시장이 형성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석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