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바로가기

기사 상세

부동산

무늬만 송파·서초인데 … 토허제 날벼락 맞은 동네 '부글'

황순민 기자
입력 : 
2025-03-21 17:39:11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서울의 강남, 서초, 송파, 용산구에서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묶인 13개 동의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이 서울 평균에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송파구 내 삼전동과 마천동 등 가격이 낮은 지역의 주민들은 규제에 따른 거래 차단 우려를 감추지 못하고 있으며, 규제가 강화된 후 거래량 감소가 예상된다.

한편 같은 구역 내에서도 아파트 가격이 급등하는 사례가 발생하고 있어 극심한 가격 차이를 보이고 있다.

언어변경

글자크기 설정

삼전동·석촌동·양재동 등
서울 평균보다 집값 낮은데
구단위 통규제로 거래 묶여
규제지역 하락 거래 속출
반포 '급급매' 9억 떨어져
사진설명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묶인 강남·서초·송파·용산구에 속해 있는 동 단위 지역 중에서 서울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에도 미치지 못하는 지역이 13곳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집값 급등 이슈나 정비사업 호재가 딱히 없는데도 별안간 규제 아파트 중 하나로 묶인 이들 지역에서는 날벼락을 맞았다는 반응이 나온다. 서울시가 사상 처음으로 구 단위로 '통규제'를 실시한 데 따른 후폭풍이다.

21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공개시스템을 통해 서울 전체 법정동의 올해(1월 1일~3월 20일) 아파트 매매가를 전수 분석한 결과 총 13개 동(용산 7곳, 송파 5곳,서초 1곳)에서 서울 아파트 평균 거래가격(12억9910만원)에 미치지 못했다. 특히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묶인 강남3구와 용산구에서 평균 거래가격이 10억원이 채 안 되는 법정동도 4곳으로 나타났다. 송파구 삼전동(6억4167만원), 석촌동(6억6008만원), 마천동(8억3867만원), 용산구 용산동2가(7억9000만원) 등이 대표적이다. 같은 기간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된 자치구들의 아파트 평균 거래가격은 서초구 28억4025만원, 강남구 26억6275만원, 용산구 21억1966만원, 송파구 18억1927만원으로 큰 차이를 보였다.

특히 같은 송파구에 속해 있지만 삼전동과 잠실동(25억3063만원)은 매매가격 차이가 18억8896만원에 달했다. 하지만 강남3구·용산구에 있고 건축물대장에 '아파트'로 기재돼 있다면 모두 규제 적용 대상이다.

이 같은 일괄 규제에 가격이 낮은 지역 아파트 보유자들은 부글부글 하는 분위기다. 송파구 마천동 주민 박 모씨는 "말만 송파구고 그동안 집값이 오르는 혜택은 보지 못했는데, 이제 거래까지 막히는 것 아니냐"고 했다. 올해 거래가 마천동과 삼전동에서 각각 6건, 3건 이뤄진 반면 잠실동에서는 187건에 달했다. 구자민 리얼투데이 연구원은 "토지거래허가구역 재지정으로 갭투자 등을 노리던 수요가 줄어들고 있다"면서 "송파나 용산에서도 가격 상승이 크지 않았던 곳들은 거래량이 크게 감소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반면 아파트 매매가격 상승률이 강남 핵심지와 큰 차이가 없는 과천 등은 토지거래허가구역 대상에서 빠졌다.

한편 규제로 묶인 지역에서는 '다급한 거래'도 이뤄지고 있다. 이날 래미안 원베일리 전용면적 84㎡ 매물은 54억원에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알려졌다. 같은 동 비슷한 층수 매물 호가가 63억원까지 올랐음을 감안하면 9억원이 일시에 하락한 셈이다.

[황순민 기자]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