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관위 채용비리 통렬한 반성"
여야 개혁안 논의 속도낼 듯
여야 개혁안 논의 속도낼 듯

노 위원장이 직접 대국민 사과에 나선 배경에는 선관위 채용 비리 문제가 자칫 '부정선거론'과 연계돼 선거 관리에 대한 신뢰도까지 무너질 수 있다는 염려가 깔려 있다.
노 위원장은 "이번 사건으로 선관위에 대한 국민 신뢰가 흔들리고 있다는 것을 잘 알고 있다"며 "나아가 선관위 조직 운영에 대한 불신이 선거 과정에 대한 불신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에 책임을 통감하고 있다"고 말했다.
윤석열 대통령의 12·3 비상계엄과 헌법재판소 탄핵심판 변론 과정에서도 부정선거론은 논쟁의 중심에 있었다. 이날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에서 김장겸 국민의힘 의원은 증인으로 출석한 김용빈 선관위 사무총장을 향해 "가족 특혜 채용, 소쿠리 투표 등 부실한 선거 관리가 만연하니까 부정선거 음모론이 자라는 것"이라며 "음모론 토양을 선관위가 제공한 것 아니냐"고 비판했다.
노 위원장은 선관위의 신뢰성 회복을 위해 외부 통제 방안을 수용하겠다는 의사를 내비쳤다. 이에 따라 국회의 선관위 통제 방안을 놓고 여야 논의가 속도를 낼 것으로 보인다. 노 위원장은 "국민 여러분이 만족할 때까지 제도 개선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오는 17일 열리는 선관위원 전체회의에서 선관위는 추가 자정 방안을 내놓을 것으로 보인다.
[서동철 기자]